[Why 뉴스] "왜 핀란드에서는 '자살'이 금기어가 됐을까?"
기사에서 다루고 있는 건 '자살' 을 보도하는 언론의 태도지만, 다른 주제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라고 생각한다. 특히 하루가 멀다하고 맨날 성폭행 성추행 그런 기사 올라오는데, 진짜 좀 안 봤으면 좋겠다.
언젠가 일어난 어린이 성폭행 사건 당시 모 신문이 성범죄자 실명공개를 천명한 게 몇 년 전인 것 같은데, 어느새 성범죄자의 실명 그리고 얼굴 같은 신상을 공개하는 게 당연해지는 분위기다. 근데 그게 우리 사회에 어떤 이득을 가져다 주는지, 글쎄 난 잘 모르겠다. 파렴치한 범죄에 분노할 시민들의 분노의 대상을 구체화시키는 효과가 있으려나? 근데 그럼 뭐해. 어차피 범인은 사회에서 격리되어 법이 정한 처벌을 받을 거고(그 형량이 적당한가 하는 문제는 여기서 다루지 않는다), 범죄자의 얼굴과 이름을 알든 모르든 우리의 분노는 그에게 아무런 영향을 줄 수 없다. 이름과 얼굴을 알면 사람을 죽일 수 있는 어떤 노트는 현실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우리의 분노가 하늘에 닿아 범죄자에게 벼락을 내릴 가능성보다는 홧병이 되어 우리의 수명을 줄일 가능성이 더 높다. 아니면 그 정도로 구체적으로 대상을 정해 주지 않으면 제대로 분노할 수 없을 정도로 창의력 빈곤에 빠진 우리 시민들을 위한 배려일까.
성범죄자 신상공개, 할 수 있는 일이라고 치자. 근데 어쩐지 재범률이 높은 요주의인물의 관리를 국가가 민간에 떠넘기는 듯한 모양새다. 우리는 이제 모르겠으니까 너네가 알아서 피하든 말든 하라는 의미일까. 어쨌든 국가에서 정한 형량(그 형량이 적당한가 하는 문제는 여기서 다루지 않는다)을 채우고 나온 사람에 대해서 국가에서 행할 수 있는 강제력이란 게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겠지만, 좀더 시민들이 신경쓰지 않아도 될만한 어떤 조치가 필요하지 않나 싶다. 근데 나 너무 무책임하게 얘기한다.
그리고 다른 글에서도 썼던 것 같은 얘긴데, 제발 범행 수법에 대한 얘기는 하지 말아 줬으면 좋겠다. 뭐 누구로 가장해서 어디로 침입해서 문은 어떻게 따고 피해자를 이래저래 해서 어떻게 빠져나갔다 하는 얘기들을 굳이 해야되는 이유는 뭔데. 그건 그냥 수사하시는 분들만 알고 계시라고 하지 그래. 그건 범행 대상은 결정했는데 어떻게 해야할지 몰라서 범죄를 저지르지 못하는 창의력 빈곤에 빠진 잠재적 범죄자들을 위한 배려일까. 아니면 범행 수법까지 상세히 알려주면 조금이라도 나쁜마음을 가진 자들은 범죄를 저지를테니까 그들을 싹 잡아들이면 사회가 평화로워질 거라는 발상일까.
아무튼 그런 거, 흉악한 범죄 얘기들은 좀 안 볼 수 없을까. 물론 신문이나 뉴스에 안 나온다고 그런 일이 없는 게 되는 건 아니지만 선량한 시민들이 매일매일 강간, 살인, 폭력 등을 생각하게 만드는 사회는 건강하지 않다. 그리고 적당한 자극이 없으면 범죄를 일으키지 않을 수도 있을 사람들이 매일매일 강간, 살인, 폭력 등을 생각하게 만드는 사회는 위험하다. 코끼리는 생각하지 말라는 말을 들으면 누구나 코끼리를 생각할 수밖에 없다.
우리는 그냥 잊어버리면 안될까. 정의사회구현은 민중의 지팡이들이 해야 할 일이지 키보드 워리어들이 나설 일이 아니다. 알 권리니 경각심이니 하면서 이미 아픈 자들의 상처에 다시 소금을 뿌리는 짓은 하지 말자.
이것도 잊지 말자, 저것도 잊지 말자고 하는데, 아, 물론 잊지 말아야 될 것도 있긴 있는데,
정말 때로는 차라리 냄비가 더 좋겠어. 물론 진짜 그 일을 신경써야 될 조직이 제대로 돌아가고 있기만 하다면...
p.s.1 그러고 보면 진짜 음란물을 단속해야 되는 게 맞는 것 같다. 코끼리를 생각하지 말라고 백날 외쳐봤자니까 아예 코끼리를 멸종시켜버리는 거지(아. 비유가 과격하지만 진지하다. 궁서체다). 일단 내 하드에 야동부터 지워야 되겠는데, 아, 그건... 미안하다. 지금은 곤란하다. 조금만 기다려 달라.
p,s,2 예전부터 독일의 게임 검열수준 혹은 여가부의 게임검열을 까는 데 쓰이는 자료가 있는데, 정말로 진지하게 우리도 도입하는 게 어떨까 싶다. 좋은 것만 보고 좋은 것만 듣고 좋은 것만 생각하고 살면 세상이 좀더 살기 좋아지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