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들 신종플루 때문에 후덜덜하고 있으니까 타미플루가 뜨고, 타미플루의 원료라는 한약재 팔각이라는 것까지 덩달아 뜨는 것 같다. 타미플루를 급하게 많이 만들어야 한다면(솔직히 그럴 필요가 있는지 난 잘 모르겠다) 그 원료에 주목하는 건 당연하니까 뭐 거기까지는 좋다 치자. 근데 왜 거기서 엉뚱한 사람들이 덩달아 흥분하며 '그러므로 타미플루도 한약이라고 볼 수 있음 ㅇㅇㄳ' 이런 반응들은 왜 나오냐는 거다. 솔직히 나도 잘 모르는 분야라 설명은 못 하지만, 이건 그림 하나만 봐도 분명해지는 문제다.
http://en.wikipedia.org/wiki/Oseltamivir#Chemical_synthesis
위키피디아에서 긁어온 타미플루의 합성과정이다. 팔각은 어디 있냐고? 맨 처음에 있는 (-)-shikimic acid, 이게 팔각에서 나오는 성분이다. 수율은 3~7%정도 된다고 하는데, 그래도 현재까지는 팔각에서 뽑아내는 게 제일 수율이 높은 모양이다. 한의학에서 팔각을 넣고 무슨 약을 만드는지는 모르겠는데, 팔각이랑 각종 한약재 넣고 삼일밤낮 끓이면 저 복잡한 합성과정을 거쳐서 타미플루가 튀어나오나? 아니 백번 양보해서, 꼭 저 방법으로만 타미플루가 만들어지라는 법은 없으니까, 이런 건 되나?
타미플루의 원료가 한약재 팔각이라고 흥분하기 전에, 한번 팔각이 들어가는 한약(뭐가 있는지는 모르겠는데)을 가지고 HPLC, NMR 같은 거라도 해 보는 게 순서 아닌가 싶다. 그래서 저거랑 비슷한 구조가 나오면 설레발을 쳐도 그때 가서 치는 게 더 좋을 것 같단 말이지. 팔각에서 shikimic acid 뽑아내는 수율이 낮아서 E.coli 가지고 합성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고, 어느 정도 성과도 있는 모양인데, 그거 성공하면 어떡할려고들 저러는지 몰라.
위키피디아에서 긁어온 타미플루의 합성과정이다. 팔각은 어디 있냐고? 맨 처음에 있는 (-)-shikimic acid, 이게 팔각에서 나오는 성분이다. 수율은 3~7%정도 된다고 하는데, 그래도 현재까지는 팔각에서 뽑아내는 게 제일 수율이 높은 모양이다. 한의학에서 팔각을 넣고 무슨 약을 만드는지는 모르겠는데, 팔각이랑 각종 한약재 넣고 삼일밤낮 끓이면 저 복잡한 합성과정을 거쳐서 타미플루가 튀어나오나? 아니 백번 양보해서, 꼭 저 방법으로만 타미플루가 만들어지라는 법은 없으니까, 이런 건 되나?
타미플루의 원료가 한약재 팔각이라고 흥분하기 전에, 한번 팔각이 들어가는 한약(뭐가 있는지는 모르겠는데)을 가지고 HPLC, NMR 같은 거라도 해 보는 게 순서 아닌가 싶다. 그래서 저거랑 비슷한 구조가 나오면 설레발을 쳐도 그때 가서 치는 게 더 좋을 것 같단 말이지. 팔각에서 shikimic acid 뽑아내는 수율이 낮아서 E.coli 가지고 합성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고, 어느 정도 성과도 있는 모양인데, 그거 성공하면 어떡할려고들 저러는지 몰라.
'생물*과학*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헌혈이 심장에 무리를 준다고? (8) | 2009.11.07 |
---|---|
한의학이라는 망상에 빠진 KBS #1 (0) | 2009.09.12 |
멜라노마, 충격과 공포... (0) | 2009.08.25 |
진정한 의학은 하나 (0) | 2009.08.06 |
달착륙 동영상 지워버린 NASA (0) | 2009.07.18 |